본문 바로가기

광주평생교육진흥원

소개

평생학습형 일자리 개념

  • 국가적 차원에서 모든 국민이 평생학습을 통해 지식의 생산적·소비적 가치를 창출하고 이와 관련된 재능과 역량을 사회·문화·경제적 가치로 활용하는 창조적 일자리
  • 지자체 차원에서 지역주민이 평생학습을 통해 지식/재능/역량을 개발하여 사회·문화·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지역사회기반의 사회적 일자리
    • 국가평생교육 진흥원의 ‘학습형 사회적 일자리’(2013)
    • 서울시의 ‘생애전환기 학습형 일자리‘(2015) ‘학습-일 선순환 학습형 일자리(2016)
    • 경기도의 ‘학습형 공공일자리‘(2012)
    • 부산광역시의 ‘평생학습형 일자리’(2015)
    • 유럽사회를 중심으로 ‘평생학습 일자리(life learning jobs)’

평생학습형 일자리 개념

유형 대상목적가치 및 정의
01. 생애전환형 일자리학습자생애적 고용가능증대
  • 평생학습의 고용노동력 가치
  • 현대사회에서 모든 지역주민이 평생학습을 통해 인생코스와 생애단계에서 요청되는 직업적 기술과 역량을 개발하여 각자의 고용가능성을 높여 획득한 일자리
02. 자활학습형일자리경제적 자활능력 개발
  • 학습복지수혜의 경제적 가치
  • 지역의 약자/소외층이 평생학습의 참여기회를 제공받아 자활의지와 역량개발의 과정에서 생계유지를 지원받는 일자리
03. 실천공익형일자리활동적 시민자본 확산
  • 평생학습 실천의 공익적 가치
  • 지역주민이 활동하는 평생학습실천의 가치를 공익적으로 인정받아 시민활동급료를 수령하는 시간선택형 사회적 일자리
04. 지식창업형일자리창조적 지식사업 경영
  • 지식창업의 시민참여 가치
  • 지역주민이 평생학습을 통해 생성한 지식/기술/재능을 사업아이템으로 개발하여 사회경제적 수익을 창출하는 일자리
05. 시민지식형일자리교육자사회적 시민지식 촉진
  • 시민지식 콘텐츠의 사회적 가치
  • 전문지식을 갖춘 지식시민으로 성장하여 생활세계와 공익적 학습영역에서 전문지식과 재능을 전달하고 관리하는 일자리
06. 학습시장형일자리소비적 지식시장 확대
  • 전문지식의 평생학습소비 가치
  • 지식경제와 학습시장의 급속한 확장으로 지식콘텐츠와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소비가치를 창출하고 경영하는 일자리
07. 전문현장형일자리전문적 평생학습활성화
  • 평생학습종사자의 전문직업적 가치
  • 민간/공공/시장영역의 평생교육기관에서 학습소비자와 고객의 지속적인 평생학습실천과 생활화를 지원하는 전문일자리